본문 바로가기
사회

갑상선암, 과잉진단 논란 이후 사망률 증가: 무엇이 문제인가?

by 우기부기 사회탐구생활 2024. 10. 14.
반응형

 

최근 갑상선암에 대한 과잉진단 및 과잉치료 논란이 발생한 지 10년이 지난 후, 이와 관련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의 김신곤 교수와 김경진 교수팀은 이 문제를 면밀히 분석하여, 과거와 현재의 갑상선암 환자 수와 사망률 변화를 비교했습니다.

 

연구팀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기반으로 총 43만4228명의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흥미롭게도,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 내 갑상선암 발병률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2012년의 과잉진단 논란 이후 환자 수는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예를 들어, 2012년에는 10만 명당 91.9명이었던 갑상선암 환자 수가 2015년에는 50.6명으로 줄어들었고, 이후 2018년까지 안정세를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환자 수의 감소와는 상반되게, 같은 기간 동안 갑상선암의 사망률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2005년에는 1000명당 1.94명이었던 사망률이 2013년에는 0.76명으로 감소했지만, 2018년에는 2.70명으로 다시 상승했습니다. 특히, 갑상선 절제술을 받지 않았거나 전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의 사망률이 2013년 이후 증가한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반면, 반절제술이나 부분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과잉진단 논란 이후의 진단 및 치료 기준에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연구팀은 “갑상선암의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사실은 위험도를 정확히 판단하고, 고위험 환자에 대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경고”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저위험 환자에서는 과잉치료를 줄이고, 정확한 추적 관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갑상선암은 대체로 예후가 좋은 질환이지만, 일부 환자에게는 예후가 나쁜 경우도 존재하는 양극단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잉진료와 과소진료 모두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하다는 점이 연구팀의 결론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세계외과저널’에 게재되어, 학계와 의료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갑상선암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기존의 접근 방식을 재고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부각시킵니다. 특히, 환자의 개별적인 위험도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는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치료 결과를 제공하고, 불필요한 의료적 개입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앞으로의 연구와 논의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 갑상선암 환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질 때, 우리는 갑상선암 관리에 있어 보다 나은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